제주큰동산 역사뜨락/제주도 향토사

[스크랩] 조선 전기의 제주 - 목차와 내용

제주큰동산 2013. 9. 20. 21:15

朝鮮 前期의 濟州 (近世)

                                                                                       作 成 者 : 제주큰동산


목            차


제4장 조선 전기의 제주


 제1절 행정 제도와 교육

    1. 삼읍의 정리

        가. 삼읍의 성립        나. 지방관의 위상      다. 토관직의 운영

    2. 조세 제도

        가. 마정(馬政)

           (1) 목장의 분포     (2) 목장의 관리 제도    (3) 우마의 진상과 수송

           (4) 공마 제도의 문제점

        나. 귤의 진상

        다. 토산물의 진상

        라. 전제(田制)

    3. 제주도의 교육

        가. 교육 기관

           (1) 향교

           (2) 서원

               (가) 귤림서원      (나) 삼성사

           (3) 서당

        나. 인재 등용제

           (1) 선상정책(選上政策)

           (2) 문과의 실시

           (3) 무과의 실시 

 

 제2절 중앙 정부의 제주도 정책

    1. 출륙 억제 정책

    2. 유배 정책

       가. 제주 유형      나. 유배인 


 제3절 왜구의 침입과 방어 시설

    1. 왜구 침입의 실태

    2. 방어 시설의 정비

    3. 을묘왜변과 제주

    4. 임진왜란과 제주

       가. 이경록 목사의 활약      나. 제주의 헌마(獻馬)


제4절 민폐와 선정관

    1. 민폐(民弊)

    2. 소덕유·길운절의 역모 사건

    3. 제주의 선정관


제5절 유형 문화재

    1. 유형 문화재의 형성과 배경

    2. 유형 문화재

       가. 성지 : 제주성지, 대정성지, 정의성지, 별방성지, 명월성지, 수산진성, 봉수·연대

       나. 건축물 : 제주 향교, 대정 향교, 정의 향교, 관덕정, 일관헌, 연북정

       다. 사적지 : 산천단, 오현단, 삼성혈, 제주목 관아지

       라. 기록물 : 제주풍토록, 남사록 


제6절 표류인과 표도인

    1. 표류인   

    2. 표도인


제7절 제주의 인물

    1. 입도조

    2. 제주 출신 명사

 

출처 : 제주큰동산
글쓴이 : 제주큰동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