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제주와 연대표
고려시대의 탐라 연대표
연 대 |
제 주 도 |
우 리 나 라 |
다 른 나 라 |
900 |
(925) 고려에 토산물을 바침 (938) 태자 末老가 고려 조정에 가 성주·왕자 작위 받음
|
(918) 고려 건국 (936)고려,후삼국 통일 (958) 과거제도 실시 (976) 전시과 실시 (983) 전국에 12목 설치 (992) 국자감 설치 (996) 건원중보 주조 |
(907) 당 멸망, 5대 시작 (916)거란, 요 건국(~1125) (960) 송의 건국( ~1127) (962) 신성 로마 제국 성립 (987) 프랑스, 카페왕조 성립(~1328)
|
| |||
1000 |
(1002) 화산 폭발 (1007) 〃 , 田拱之 파견 (1024) 고려, 탐라 추장 周物과 그 아들에게 武散階 수여 (1045) 고유, 南省試에 급제 (1052) 세공귤 100포로 개정 (1078) 표류민 高礪 등, 일본으로부터 귀국 |
(1009) 강조의 정변 (1019) 귀주 대첩 (1033) 천리장성 축조 (~1044) (1076) 전시과 개정 (1086) 의천, 속장경 조판 (1097) 주전도감 설치 |
(1037) 셀주크 투르크 건국 (1054) 동서교회의 분열 (1066) 노르만 정복 (1069) 왕안석의 신법 (1077) 카노사 굴욕 (1095) 클레르몽 종교 회의 (1096) 십자군 원정(~1270) |
| |||
1100
|
(1105) 耽羅郡 설치 (1149)고조기,중서시랑평장사 제수 (1153) 耽羅縣으로 하고 令尉 파견 (‘縣’ 명칭 첫 등장) (1162) 최척경, 탐라 현령 제수 (1168) 良守의 난, 최척경을 다시 탐라현령으로 삼음. |
(1107) 윤관, 여진 정벌 (1126) 이자겸의 난 (1135) 묘청의 난 (1145) 삼국사기 편찬
(1170) 무신정변 (1196) 최충헌 집권 (1198) 만적의 난 |
(1115) 금의 건국(~1234) (1122) 보름스 협약 (1127) 남송 시작(~1279) (1150) 파리대학 창립 (1163) 프랑스, 노트르담 사 원 건축 시작 (1192) 일본, 가마쿠라 막부 세움 |
| |||
1200 |
(1202) 번석·번수의 난 |
|
(1206) 칭기즈칸, 몽고통일 |
|
(1211) 탐라 石淺村을 貴德縣으로 (1229) 宋, 濟州 표류민 梁用才 등 28명 송환(‘濟州’명칭의 첫 등장) |
(1219) 몽고와 통교 (1231) 몽고 제1차 침입 (1232) 고려, 강화 천도 (~1270) |
(1206) 몽고 제국의 성립 (1215) 영국, 대헌장 제정
(1241) 신성로마제국, 한자 동맹 성립 (1254) 독일 대공위 시대 (~1273)
|
|
(1234) 判官 金垢, 돌담을 쌓아 밭 경계를 만듬. (1253) 漢拏山神에 濟民의 號를 加함 (1259) 副使 金之錫, 豆馬上納 의 민폐 근절함. (1260) 副使 羅得璜, 防護使 겸함. |
(1234) 금속활자로 상정고금예문 간행 (1236) 고려대장경 조판 (~1251)
|
|
(1266) 星主 고려에 入朝 후 12월에 몽고에 감. (1267) 文幸奴의 난, 副使 崔托 이 진압 (1268) 元, 탐라에서 배 1백 척 건조케 함. (1271) 김통정, 제주에 상륙. (1272) 삼별초, 내·외성 축조. (1273) 金方慶,忻都 등 삼별초 평정 元, 招討司 설치 (1275) 元, 도적 1백여 명 제주유배. 軍民都達魯花赤總管府 설치 (1276) 元에서 말 160필을 수산평에 방목. (1284) 元, 軍民安撫司 설치 (1294) 원, 탐라를 고려에 반환 (1295) 崔瑞를 제주목사로 임명 (‘牧使’ 명칭의 첫 등장) |
(1270) 개경 환도, 삼별초의 대몽 항쟁
(1274) 여·원 제1차 일본 정벌
(1285) 삼국유사 완성
|
(1265) 영국, 시몽드 몽포르 의회 소집 (1267)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편찬 (1271) 원 제국 성립 (~1368)
(1279) 남송 멸망
(1295) 영국, 모범의회 (1299) 마르코폴로, 「동방 견문록」 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