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절 삼별초의 항쟁(3) - 삼별초의 영향
6. 삼별초의 영향
삼별초가 탐라에 입거하여 항쟁했던 약 2년 10개월 동안 제주도에 미친
영향은 지대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 내용을 두 가지 측면에서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폐해의 측면에서 생각해 본다면,
① 삼별초는 탐라인들에게 물심양면으로 많은 부담을 주었으니 축성과 진지 구축을 위하여 가혹한 부역을 차출하였으며,
② 삼별초와 여몽 연합군의 전투는 취락을 피하여 주로 해안이나 산야에서 전개되었기 때문에 큰 전화를 입지는 않았다 할지라도 田作의 피해와
농사를 제때에 못하는 失農 현상이 있었으며,
③ 몽고는 탐라를 일본정벌을 위한 보조 병참기지로 이용함에 따라 도민들은 군마와 가축의 사육, 선박의 건조 등 役事에 동원되었으며,
④ 삼별초가 진압된 후 여몽 연합군 700명이나 주둔함으로써 이들의 지원 대책을 위한 도민의 부담이 컸고,
⑤ 삼별초의 평정과 더불어 탐라는 몽고의 지배하에서 약 100년간 굴욕을 겪어야만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사회·문화적으로 이로운 점도 있었는데,
① 그 당시 우리 나라의 중심 문화권이던 개경과 강도의 문물 제도, 생활 양식, 언어, 풍습 등의 영향으로 문화면에서의 일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는 점과,
② 항파두리를 비롯한 도처에 축성, 제방, 관아, 병영 등 많은 군사 병참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수준 높은 토목 건축 기술을 보급 전수시켰으며,
③ 관개를 이용한 벼농사를 비롯하여 발달된 농경법, 양잠, 직조기술 등이 장려되어 산업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④ 전선, 선박 등을 건조함으로써 조선 기술이 발달하였으며,
⑤ 목축에 대한 여러 가지 기술이 전래되어, 특히 승용마와 노역마 등을 방목함으로써 후에 몽고의 대규모 목마장이 설치되는 기틀이 되었으며,
⑥ 수정사, 원당사, 법화사 등의 사찰이 건립됨으로써 이후 불교의 보급에 지대한 영향을 주어 불교 문화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는 등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참고문헌
① 濟州道, 『濟州道誌』第一卷, 1993.
② 濟州大學校 , 『鄕土文化史 ( 敎材用 )』, 1984 .
③ 金宗業, 『耽羅文化史』, 1986.
④ 金庠基, <三別抄와 그의 亂에 對하여>,『東方文化交流史論攷』, 乙酉
文化社, 1948.
⑤ 曺康煥, 『歷史의 古戰場』, 三潮社,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