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성(城) 중국보다 앞서고 독창적"
|
중국이 고구려에서 성 쌓는 기술을 배워간 증거를
중국인들 자신의 손으로 확인하다.
|
중국 정부가 고구려 유적이 밀집된 중국 환런(桓仁)ㆍ지안(集安) 지역을 대상 으로
실시한 자체 유적발굴 조사에서
중국이 왜곡한 고구려사가 허구임을 증명 하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중국 정부가 2000~2003년까지 실시한 조사에서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천도하기 이전에 이미 한나라가 고구려현 치소(治所)로 사용하던 토성(土城)이 있었고 고구려는 이를 바탕으로 석성을 쌓았다`는 기존 중국 학계 주장과 달리
실제로 국내성 유적에서 (중국의) 토성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이들 지역에서
중국보다 앞선 시기에 축조된 다양하고 독창적인 성 유적이 발견됨 으로써
`고구려가 중국 영향을 받아 성을 쌓았다`는 중국측 논리가 허구라는 사실도 드러나게 됐다.
이 같은 사실은 중국이 `고구려가 중국 영향을 받은 속국이었다`고 왜곡한 역사를
중국 학계가 직접 발굴한 결과로 명쾌하게 반박 하는 동시에
고구려 유적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기에 앞서 중국 학계가 대대적으로 벌인
고고학적 발굴 결과를 반영한 최초 연구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내용은 `환인ㆍ집안지역의 고구려유적 발굴 성과의 검토`를 주제로 오는 27 일
단국대에서 열리는 고구려연구회(회장 서영수) 추계학술대회에서
서길수 서경대 교수가 발표할 `오녀산성ㆍ국내성ㆍ환도산성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성과`라는 논문에 포함돼 있다.
서길수 교수는 "중국 학계가 환런과 지안에서 새롭게 발굴된 고구려 유적을 정리해
올해 발간한 보고서 `오녀산성`(랴오닝성 문물고고연구소)`과 `환도산성` `국내성`(지린성 문물고고연구소ㆍ지안시박물관)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중국 학자들 주장에 모순이 있음을 보여주는 `움직일 수 없는 증거`를 찾아냈다. ”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중국 지린성 문물고고연구소가 2000년 실시한 국내성 성벽 발굴 결과를 예로 들었다.
논문에 따르면 중국 학계는 75~77년 실시된 발굴 조사에서 발견된
흙두둑(이 랑)을 토성으로 간주하고 이를 `서한(西韓) 시기의 토성`이라고 비약하더니
결국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긴 뒤 서한의 토성을 339년 간 그대로 사용 하다가 고국원왕 12년(342)에 비로소 그 토성을 바탕으로 석성을 쌓았다`고 주 장했다.
서 교수는 "중국 학계가 그처럼 상상을 초월하는 논리적 비약을 한 것은
고구려 이전에 나온 토성을 한나라 것으로 만들어 고구려가 한나라 땅에 세워졌다 는 것을 증명하려는
고고학적 성과로 활용하려는 목적이었다”고 지적하며
"하지만 2000년 조사 결과 고구려 이전 시기에 만든 흙 두둑은 발견되지 않았고,
성벽에서 나온 유물도 모두 고구려 때의 것이었다”고 밝혔다.
중국 학자들은 자신들 주장이 잘못됐다는 증거를 스스로 파낸 셈이다.
서 교수는 이어 "오녀산성, 국내성, 환도산성에서 발굴한 성문들을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중원지역에는 당나라 때 처음 등장한 옹성(甕城)이
(한국에서는) 고구려 초기에 이미 다양하고 발전된 모양새를 갖춘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고구려 때 이처럼 독창적이고 발달된 옹성들이 실용화되었다는 것 은
고구려의 (독립적인) 정체성을 고고학적으로 증명하는 명백한 증거 인 동시에
고구려가 중원의 영향을 받아 성을 쌓았다는 중국 학자들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결과”라고 주장했다.
<노현 기자>

[고구려 벽화]

[고구려 벽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