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큰동산 역사뜨락/제주도 향토사

[스크랩]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어떻게 꾸며졌을까?

제주큰동산 2013. 9. 20. 20:45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어떻게 꾸며졌을까?


  탐라순력도는 이형상이 1702년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로서 도내의 각 고을 순시를 비롯하여 한 해 동안 거행했던 여러 행사 장면을 제주목의 화공(畵工) 김남길에게 그리게 하고 오씨 노인에게 간략한 설명을 쓰게 한 후 만든 총 41폭의 화첩이다.

 

 

                  이형상                            탐라순력도 표지                                            경북 영천시 호연정

 

  세로 55㎝, 가로 35㎝의 장지(壯紙) 위에 먹선으로 형태의 윤곽을 잡고 채색을 넣는 방식으로 그려져 있고, 비단으로 장식해 꾸몄다. 부분적으로 화지가 구겨져 주름지고 또 얼룩지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보물 제652-6호로 지정).

 

 

                       한라장촉                                      호연금서                           탐라순력도 해설 

  탐라순력도의 내용은 제주도 지도 1면과 행사장면 39면, 제주도를 떠나는 장면을 그린 ‘호연금서’ 1면, 화기(畵記) 2면 등 모두 43면으로 이루어졌다.

 

                       화북성조                                               조천조점                                           별방조점

 

  행사기록그림 39면 가운데, 1702년 10월 29일부터 11월 19일까지 21일 동안 걸쳐 실시했던 제주도의 순력장면이 22면으로 가장 많다. 제주목을 출발해 화북소 - 조천관 - 별방성 - 수산소 - 정의현 - 서귀진 - 대정현 - 모슬포 - 차귀소 - 명월진 - 애월진 등의 요새지와 그 주변의 명승명소를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일주하며 시행했던 것으로, 제주목 성으로 돌아와 4차례 행사를 더 치른 뒤 끝을 맺었다.

 

                          수산성조                                           정의강사                                           대정조점

 

                          모슬점부                                           명월조점                                            제주조점

 

  ‘비양방록’ 행사그림 아래 기록된 ‘1702년 10월 11일 생포한 사슴들을 다음 해 4월 28일에 비양도로 옮겨 풀어놓았다’는 내용으로 미루어, 그림들은 1703년 5월 초순경의 10여 일 동안에 걸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목사의 제서(題序) 일자가 1703년 음력 5월 13일로 되어 있어서 행사가 있던 다음 해에 화첩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산관일                                              귤림풍악                                           김녕관굴

 

                         정방탐승                                             고원방고                                             산방배작

 

                           병담범주                                           공마봉진                                            건포배은

 


역사적 의의

  탐라순력도에 수록되어 있는 행사그림들은 18세기 초 제주도의 관아와 성읍, 군사 등의 시설과 지형 및 풍물에 관한 갖가지 시각적 정보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제주의 역사적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특히 ‘순력도’라는 이름의 기록화로는 현존하는 유일한 자료이며 제주에서 제작된 점에서 더욱 가치가 있다.

 

 

작성자 사진 : 탐라순력도, 제주큰동산, 2011.08.04.오후, 제주특별자치도 국립제주박물관

 

첨부파일 탐라순력도.hwp

 

출처 : 제주큰동산
글쓴이 : 제주큰동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