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라산 선작지왓 설원 트레킹의 반환점이 되는 윗세오름에서 어리목으로 내려가는 길에 만나는 설원 풍경 《이 겨울에 흰 눈 덮인 한라산 설경을 두루 살피지 않은 이가 있다면, 삼천리 금수강산의 화려한 자연을 품평할 자격이 없음을 알아두시라. 한겨울이 되어도 눈 보기가 어려운 글로벌워밍(지구온난화)의 지구. 그러다 보니 한라산마저도 눈옷을 입는 횟수가 점차 줄어든다. 그 눈이 몽땅 사라지기 전에 이 멋진 풍경을 기억에 담을 일이다.》 지난 연말 한라산을 찾았다가 낭패를 보았다. 눈 대신 비가 추적추적 내린 탓이다. 멋진 설경을 기대하고 갔건만 눈이 없다는 소식에 머쓱해졌다. 언제쯤 눈에 덮일 것 같으냐는 우문에 한라산국립공원 직원은 ‘하늘에 물어보라’는 현답으로 응대했다. 그리고 이렇게 덧붙였다. “지구온난화인가 뭔가 때문인지 여기서도 눈 보기가 힘들다”고. 지난해 1월. 서귀포의 귤 밭 너머로 한라산 정상의 부악(분화구 외벽)이 하얗게 변한 모습을 보고 찾은 영실. 국도 99호선 입구부터 온통 흰 눈에 덮여 있었다. 여기서 오를 수 있는 마지막 지점인 윗세오름 대피소까지 거리는 8.7km. 혼자서 터덜터덜 오르기 시작했다. ![]() 영실매표소로 이어지는 눈덮인 도로. 뒤로 오백나한 바위벽이 보인다 폭설에 먹잇감을 잃은 까마귀 무리가 사람 손만 쳐다보는 영실 입구를 뒤로 하고 오르기를 한 시간. 마침내 영실주차장이 보였다. 등산로가 시작되는 영실휴게실까지는 또다시 눈 덮인 오르막 도로로, 온 만큼(2.54km) 더 걸어야 한다. 그래도 발걸음은 가벼웠다. 호젓한 산길을, 그것도 온통 눈에 덮인 길을 마냥 걸을 기회가 또 언제 올지 모른다는 막연한 두려움 때문이었다. ![]() 국도99호선에서 영실로 들어서는 입구. 까마귀떼가 먹이주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영실휴게실을 지나니 숲 속으로 길이 이어진다. 앞서 간 이가 다져 놓은 한 줄의 눈길을 밟으며 이들의 노고에 감사한다. 계곡을 지나면 사다리 타듯 오르는 가파른 산등성을 만난다. 그 산등성에 오르자 기막힌 절경이 펼쳐진다. 영실의 보배라 할 오백나한의 바위군상이 계곡 너머 산자락에 있어서다. 이 산등성 길로 곧장 오르면 영실 전망대(해발 1600m)다. ![]() 윗세오름으로 오르는 산등성의 영실전망대 부근 풍경으로 오른 편 바위벽이 오백나한이다 햇볕 쏟아지는 따뜻한 양지 녘의 설원. 오던 길을 돌아보니 서귀포 칠십리 해안과 삼방산이 옅은 안개 속에서 고운 자태를 드러냈다. 가까이로는 눈 덮인 크고 작은 오름이, 멀리로는 아름다운 해안과 바다가 조망되는 이곳 영실전망대. 오백나한의 기기묘묘한 바위벽도 지근거리다. 조금 더 오르니 경사 급한 산등성 길은 사라지고 눈이 덮인 숲이 펼쳐진다. ![]() 한라산의 해발 1600m 지점에 자생하는 구상나무 군락 숲길. 한겨울이면 온통 눈에 덮여 숲길은 눈터널로 변한다. ![]() 해발 1600m의 구상나무 군락 숲 밖으로 펼쳐지는 아고산식물 자생지인 선작지왓이 온통 눈에 덮인 모습. 정면의 봉우리가 한라산 정상 분화구 외벽이다. 구상나무 숲이다. 구상나무는 덕지덕지 눌어붙은 눈 덩어리로 인해 그 모습 자체를 알아볼 수가 없을 지경이다. 그런 눈 나무로 숲을 이뤘으니 그 눈 숲을 고개 숙여 통과하는 이 멋진 눈 숲길 트레킹이야말로 한겨울 한라산이 주는 고귀한 선물임에 틀림없다. 한참 걷다 보니 눈 숲 사이로 정상 아래 부악이 모습을 드러낸다. ![]() 해발 1600m에 자생하는 구상나무 군락 숲 끄트머리에서 바라다 보이는 한라산의 분화구 외벽 숲을 벗어나자 부악이 거느린 거대한 눈 평원이 펼쳐진다. 이곳이 ‘선작지왓’이다. 선작지왓은 한라산에서도 희귀한 아고산지대 식물의 보고이자 한라산 노루의 서식지다. 이 눈이 녹아 스며들어 고인 땅속의 물이 여기서는 그대로 고인단다. 식생이 풍부하고 노루가 사는 것은 그 물 덕분이다. 제주말로 ‘작’은 바위, ‘왓’은 들판이다. 그래서 선작지왓을 설명하면 ‘작은 바위가 깔려 있는 들판’이라는 뜻이다. 5월과 6월에 이곳을 찾은 이라면 알 것이다. 빨간 털진달래와 산철쭉이 마치 이곳을 불태울 듯한 기세로 온통 바위인 이 평원을 뒤덮은 모습을. 한라산 노루는 이 꽃잎을 먹고 산다. 선작지왓의 설원을 걷는 행운. 그것은 부지런한 이들에게만 주어지는 자연의 선물이다. 지금도 내 발바닥으로 느꼈던 이곳 눈의 촉감, 밟을 때마다 들리던 뽀드득거리는 소리, 그리고 선작지왓의 눈 평원을 훑고 지나던 매서운 바람의 거친 촉감이 기억난다. 여기서 만나는 자연의 만물은 모든 것이 새롭고 싱싱해서다. ![]() 트레커들이 선작지왓의 눈평원을 지나 윗세오름 대피소를 향해 걷고 있다 ![]() 설원트레킹의 반환점이 되는 윗세오름 대피소(해발1700m) 백록담을 향해 계단처럼 차례로 자리 잡은 붉은오름과 누운오름. 선작지왓 트레킹 길은 이 두 오름 사이를 지난다. 그리고 그 끝은 윗세오름의 대피소다. 하늘로는 거대한 성벽처럼 버티고 있는 현무암 덩어리의 분화구 외벽, 정면으로는 어리목으로 내리닫이로 잦아드는 산자락 너머의 또 다른 한라산과 제주 바다 풍경. 세상은 온통 눈에 덮였고 가슴은 즐거움으로 뻐근하리만큼 충만했으니 대피소에서 사먹는 컵라면 하나가 임금의 호사로 다가온다. 겨울 한라산은 이처럼 아름답고 사랑스럽다. 도깨비뉴스 여행전문 리포터 동분서분 ![]() ◇한라산 선작지왓 설원 트레킹 ▽코스=영실 입구(지방도 1139호선·해발 1000m)∼2.5km∼영실매표소(한라산국립공원)∼2.5km∼영실휴게실(해발 1280m)∼3.7km∼윗세오름 대피소(해발 1700m) ▽트레킹 난이도=방한장구(장갑 모자 보온복)와 아이젠, 등산화만 갖추면 온 가족이 함께 오를 수 있을 정도로 쉽다. ◇한라산국립공원(www.hallasan.go.kr) ▽어리목매표소=064-713-9950 ▽영실매표소=064-747-9950 ▽주차료=승용차 1800원. 자동차가 평일에는 휴게실까지 오른다. 입장료는 없다. 트레킹을 떠나기 전에는 전화로 눈이 덮였는지를 확인하라고 권한다. |
출처 : 뽀드득 뽀드득… 한라산 설원을 걷는 행복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한라산 설원
'제주큰동산 사진뜨락 > 한라산뜨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라산 그루터기와 꽃 하나 (0) | 2008.05.15 |
---|---|
성판악 등산길에서의 조릿대 (0) | 2008.04.12 |
[스크랩] <제주도 한라산의 설경> (0) | 2008.01.31 |
한라雪景 (0) | 2008.01.29 |
[스크랩] 신비의 명산 한라산 (0) | 200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