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복원 딜레마…답은 神만이 안다"
《“그냥 두자니 탑이 무너질 것 같고, 그렇다고 지금까지 잘 견뎌온 탑을 해체 복원하자니 오히려 훼손을 부채질할 것 같기도 하고….”
“보호각을 만들면 비바람을 막을 수 있을 것 같지만 문화재의 경관을 훼손하고 그 매력을 떨어뜨릴 것 같기도 하고….”
문화재는 오랜 세월에 손상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특히 야외 석조 문화재는 다른 것보다도 손상이 심각하다. 하지만 보수 보존은 어렵다. 석탑의 복원은 조립 과정의 부실로 위험 지적을 받고, 잘못된 보수로 판명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석굴암…본존불 천장 외부
시멘트 씌울까 말까
○ 온도차로 내부 습기 생겨 에어컨 설치
1913년 조선총독부는 일부가 무너진 석굴암(774년·국보 24호)을 보수 복원했다. 그리고 1964년 국내의 문화재 전문가들은 이를 다시 보수했다.
1964년 당시 문화재 전문가들은 석굴암 보수공사를 하면서 본존불 천장 외부를 시멘트 콘크리트로 덮어 씌웠다. 빗물이 내부로 흘러들어 오는 것을 막겠다는 명분이었다. 그러나 그로 인해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가 커져 석굴암 내부에 습기가 더 많이 차고 결로(結露) 현상이 발생하고 말았다. 급기야는 1966년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에어컨을 설치하는 진풍경까지 연출해야 했다.
당시 콘크리트를 선택한 것은 현대식 토목공학을 이용해 더 잘 보수했으나 막상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났다. 1200여 년 전 통일신라 때보다 지금의 토목건축 기술이 훨씬 뛰어날 텐데, 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일까. 자연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석굴암에 시멘트 콘크리트와 같은 인공 재료를 사용이 문제였다. 현대 공법도 중요하지만 친환경적인 원래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결과였다.
'제주큰동산 역사뜨락 > 한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탑 국보(塔 國寶) (0) | 2007.10.27 |
---|---|
[스크랩] 삼족오 문양 사진 모음 (0) | 2007.10.26 |
[스크랩] 안평대군 (0) | 2007.10.25 |
[스크랩] 고조선 영토 (0) | 2007.10.24 |
[스크랩]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쓴 친필 (0) | 2007.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