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큰동산 역사뜨락/제주도 향토사

濟州 鄕土史 資料 - 첫 표지와 목차

제주큰동산 2007. 10. 28. 11:35
 

鄕土史 敎育資料


高麗時代耽羅 (中 世)

 

作 成 者 : 큰 동 산




목            차


제3장 고려시대의 탐라 / 1


 제1절 군현 설치 이전의 탐라 / 4

    1. 성주(星主) · 왕자(王子) / 4

    2. 구당사(勾當使)의 파견 / 5   

    3. 무산계(武散階)의 수여 / 6

    4. 조공사(朝貢使)의 파견과 方物의 진상/8

    5. 화 산 활 동 / 10

    6. 탐라의 교육 / 10

    7. 탐라인의 仕宦(벼슬) / 13


 제2절 군현시대의 탐라 / 14

    1. 군현의 설치와 편제 / 15

    2. 취락의 발달 / 18

    3. 지방관(수령) / 19

    4. 제주의 민란 / 22

    5. 한라산 산신제 / 27

    6. 표류인과 표도인(漂到人) / 27

    7. 몽고와의 접촉 / 30


 제3절 三別抄의 항쟁 / 30

    1. 원인 / 30

    2. 탐라의 방어 상황  / 31

    3. 삼별초의 탐라 入據 / 31

    4. 고려 · 몽고의 회유책 / 32

    5. 여·몽 연합군의 삼별초 평정 / 32

    6. 삼별초의 영향 / 33


제4절 내정 간섭기의 탐라 / 34

    1. 의 관부 설치와 그 변천 / 35

    2. 에의 貢獻 실태 / 38

    3. 제주도 목장 / 40


제5절 민란의 재연 / 43

    1. 민란의 원인 / 43

    2. 지배 이후의 대표적 민란 / 45

    3. 제주 민란의 역사적 의의 / 49


제6절 元·明 교체기의 탐라 / 50

    1. 최영의 목호 토벌 / 50   

    2. 제주행병도통사(濟州行兵都統使) 최영(崔瑩)의 보고서 / 51

    3. 제주 해협의 항로/53

    4. 유배지로서의 탐라/55

    5. 왜구의 침입 / 59


제7절 탐라의 산업 / 61

    1. 농업 / 61

    2. 목축업 / 62

    3. 수산업 / 62

    4. 산림업 / 63

    5. 조선업 / 63

    6. 외부와의 교역 / 64


제8절 고려시대 탐라의 문화 유산 / 65

    1. 문경공 고조기의 묘 / 65

    2. 삼별초 항쟁 관련 유적과 유물 / 66

    3. 복신미륵(福神彌勒) / 69

    4. 불탑과 부도 / 70

    5. 법화사지 / 72

    6. 기타의 불적 / 77

    7. 최영 장군 사당 / 80

    8. 고려청자 / 81

    9. 정비못의 鄭氏碑 /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