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큰동산 역사뜨락/제주도 향토사

제1절 군현 설치 이전의 탐라(1)-성주, 왕자, 구당사 파견

제주큰동산 2007. 10. 29. 21:50
 

제1절 군현 설치 이전의 탐라


고려 전기의 탐라국 시대는 태조 21년(938) 12월에 탐라국 태자 말로(末老)가 고려에 사신으로 가 왕자·성주직을 다시 제수 받은 이래로 제주도가 반독립국(藩國)의 상태에서 성주(=星主, 탐라국왕)에 의해 자치적으로 지배되고 있었던 시기를 말한다. 이는 숙종 10년(1105) 탐라 국호가 폐지되고 郡이 설치될 때까지 계속되며 이 기간 동안 고려는 단지 탐라국 왕족에게 무산계(武散階)를 수여하거나 구당사(勾當使)를 파견하여 행정상의 연락만을 취하게 하는 등 간접적으로 통치권을 행사하였다.


 1. 성주(星主) ‧ 왕자(王子)


 이들 칭호는 탐라국 왕족들이 신라로부터 받아 사용한 일종의 작호(爵號)였다. 고려도 태조 21년(938)에 사신으로 간 탐라국 태자 말로(末老)에게 성주‧왕자의 작위를 주었는데, 이는 신라의 예(例)를 따른 것으로서 성주·왕자의 힘을 빌어 탐라를 지배하고자 한 회유책으로 생각된다.

 고려는 탐라국의 왕을 성주라 불렀으며, 이 외에 추장이니, 수령이니 하는 기록이 《高麗史》등에 보이는 데, 모두 통치자 즉 국왕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성주는 독립적인 자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아들을 칭하여 태자‧세자라 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성주란 국왕이라는 의미의 탐라국 土語로 (별·벌)님의 訓借表記요, 왕자는 님란 탐라 土音의 표기로서, 그 직능은 전자는 國王이요, 후자는 副王的인 존재이며, 탐라국은 이들이 다스리는 이원체제의 王制를 가진 나라라는 견해도 있다.

 성주, 왕자의 작위는 숙종 11년(1105)에 郡으로 편제된 뒤에도 대대로 그 작위를 세습하며 조선 초기까지 왔다. 조선 태종 2년(1402) 성주·왕자의 작위가 폐지되면서 성주는 左都知管·왕자는 右都知管으로 개칭되었고, 이 뒤로는 濟州 牧使의 別稱으로 성주라는 칭호가 가끔 쓰여지기도 하였다.


 ● 참고문헌

① 濟州道, 『濟州道誌』第一卷, 1993. 

② 金宗業 , 『耽羅文化史』, 조약돌, 1986.

③ 文暻鉉, <耽羅國 星主 王子考>,『龍巖車文燮敎授華甲紀念史學論叢』, 1989.


 2. 구당사(勾當使)의 파견


 구당사는 고려 때 지방에 파견되었던 특수 관직의 하나다. 《고려사》백관지 외직 구당조(百官志 外職 勾當條)에 “성종 13년(994)에 압록강 나루에 구당사를 두었다가 뒤에는 모든 나루터에 배치되었다.”고 하였는데 陳祝三은「성종 초 고려 정부는 거란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압록강 나루터(津渡)에 경비 지휘관을 설치하여 이를 구당사라 불렀고, 그후 탐라와 모든 나루터에도 역시 이를 설치하였다.」고 하였으나 언제 처음으로 설치하였는지는 문헌상으로 자세히 나타나 있지 않다.

 구당사와 관련된 《고려사》의 기록을 살펴 보면

∙문종 33년(1079) 11월에, 「탐라에 구당사로 파견되었던 尹應均이 커다란 진주 두 개를 바쳤는데 그 빛이 별처럼 빛나므로 당시 사람들이 夜明珠라 했다.」

∙선종 7년(1090) 정월 「예빈성이 탐라 구당사가 올린 글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성주 유격장군 加良仍이 죽고 그 아우 高福令이 이를 계승하였으니, 부의물을 전례에 따라 보내도록 하소서 ”하자 왕이 이를 재가하였다.」

∙《고려사절요》충렬왕 4년(1278) 7월 「원의 세조가 고려의 섬사람들을 육지에 나와 살게 하였는데, 고려에서 다시 섬에 들어가 살게 하고 구당사를 파견하였다.」라고 하였다.

 이로써 본다면, 고려의 구당사는 나루의 渡江만이 아니라 주요 도서에도 파견되어 그 지역을 관할하기도 했으며, 탐라에 대해서는 藩國으로서의 지

위를 인정하면서도 구당사를 통하여 민정을 살피게 하고, 때로는 중요한 안건, 예컨데 성주와 왕자의 후계에 대한 일 등을 조정에 장계하여 윤허를 얻어 시행하는 등 간접적으로 지방을 통제하였으나 실제 행정적인 면에는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참고문헌

① 濟州道, 『濟州道誌』第一卷, 1993. 

② 陳祝三(吳富尹 譯), <蒙元과 濟州馬>,『耽羅文化』第8號, 濟州大學校

   耽羅文化硏究所, 1989

③ 金宗業 , 『耽羅文化史』, 조약돌, 1986.



제1절 군현 설치 이전의 탐라.hwp